세상이야기

제73주년 광복절에 대해, 알아야되는 사실

dachshund-dream 2018. 8. 14.
반응형

제73주년 광복절에 대해, 알아야되는 사실

35년간의 일본에 압력과 제압을에서 광복을 찾은 날이 광복절이다.


광복절은 1945년 8월 15일 수요일 (음력은 7월 8일) 대한민국이 일본에게서 독립하여 국권을 회복한 것을 기념한 날로 한국의 법정 5대 공휴일중 하나이고 공휴일이다. 이 날은 전국적으로 경축행사가 벌어지기도 하고 특별히 대통령이 직접 축하연설을 하는 경사스러운 날이다.


대한제국이 붕괴되면서부터 1910년 국권을 빼앗긴 이후 1945년 8월 15일 수용일(음력으로 7월 8일) 일본이 제 2차 세계대전에 패하여 우리나라가 해방되던 날까지의 시기에 대해서만 적용되는 반일 민족 독립운동의 사상과 운동을 포함하는 관념이니다. 

제 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전이 8.15 광복의 직접적인 계기이지만 1910년 8월 22일 일본의 강제합병 이후 35년간 민족해방을 위한 독립운동은 계속 전개 되었다. 1910년 이전에는 애국계몽운동, 독립협회운동, 반침략호국운동이, 이후에는 대한제국의 부활을 위한 복벽운동이 전개되었고, 1919년 3.1운동이후에는 민족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운동이 일어났다.


1919년 3,1운동에 산발적인 독립운동이 집결되어 200만 명의 인원이 참여하였고, 독립이 현대적 국민국가수립을 의미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3,1운동 직전 2월에는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민국의회가 3.1운동 직후 4월 13일에는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었고, 국내에서는 4월 23일 임시정부선포문을 발표하는 등 곳곳에 정부가 세워졌다. 그리고 1920년에는 민족유일당운동이 열렸지만 일본군인들에 억압에 의해 성공하지 못했다.


그리고 1910년 경 만주지방에서는 독립군의 무장항쟁이 한참이었다. 간도 삼원보의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敎)는 독립군 3,500명을 수료시키고, 김좌진 장군님은 간도에서 1,600명의 독립군을 양성하였고, 연길현에서는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이 활동했었다. 

1920년 10월 청산리전투 이후에는 독립군부대가 통합하여 대한독립군단을 설립하였다. 국내의 광복운동은 사회운동의 형태를 취하였고, 1917년 민족주의 노선과 사회주의 혁명노선을 양분되었다. 1927년 2월 재통합을 위해 신간회가 조직되었으나 안타깝게도 1931년 붕괴가 되고 말았다.



유튜브= 일본히로시마 원자폭타 투하에 대한 미국 영상


1941년 12월 시작된 제2차 세계대전이 1943년 들어 연합국의 우세가 확실해짐에 따라 연합국측은 전후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1943년 카이로회담을 열었고, 한국에 대해서는 적당한 시기에 독립시킬 것을 결의하였다. 1945년 2월 얄타회담에서는 신탁통치가 거론되었고, 1945년 7월 포츠담선언에서는 카이로선언이 재확인 되었다. 1945년 8월 6일 일본의 나가사키와 히로시마에 동시에 원자폭탄을 미국에서 투하시켰고, 8월 9일 얄타협정에 따라 러시아가 대일선전포고를 한데이어 38선 전역을 점령하였다. 러시아의 남하를 우려한 미국이 38선분할 제안을 제기하였고, 8월 15일 일본은 무조건 항복하였다.


독립운동가로는 마지막 사진인데,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인원(1945.11.03)


조소앙(趙素昻)선생님, 이시영(李始榮)초대 부통령, 조완구(趙琬九)선생님, 김규식(金奎植)선생님 외교활동가, 백범 김구(金九)선생님, 홍진(洪震)독립운동가 검사, 유동열(柳東悅)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총장, 김순애(金淳愛)선생님 대한애국부인회 설립자이자 김규식 선생님의 아내이다신익희(申翼熙)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총장, 김붕준(金朋濬)독립신문사 운윤기섭(尹琦燮) 신흥무관학교 교장선생님, 김성숙(金星淑) 대한임시정부 국무위원, 최동오(崔東旿) 대한임시정부 국무위원, 김명준(金明濬) 선생님, 임의택선생님, 장건상(張建相)선생님, 황학수(黃學秀)선생님 대한민국임시정부 의정원 국무부 비서국장, 이영길(李永吉)선생님, 신송식(申松植)군인 , 김은충(金恩忠)장군, 안우생(安遇生)독립운동가이고 안중근의사 조카이고 안타깝게도 해방이후 북한쪽에서 거주했다, 문일민(文一民)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의원 육군참모부 총무국장, 조성환(曺成煥)대한독립군단 외교부장, 민영구(閔泳玖)선생님, 호의영선생님, 김재호(金在浩)의열단, 김유철(金裕哲) 대한민국임시 정부 외무부 총무과장, 지복영(池復榮)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여군, 민영숙선생님신건식(申建植)대한민국 임시정부 재무부차장, 백정갑(白正甲)선생님, 서상열(徐相烈)선생님, 박승헌(朴承憲) 총사령부 기간요원, 선우진(㶍于鎭)독립운동가 해방이후 김구선생님 비서를 했다, 염온동(廉溫東)대한민국임시정원 의원겸 군무부 총무과장겸 군사학편찬위원회 간사로 활동


1945년 8월 15에 일본은 연합국에 항복을 선언 하였고 이로써, 한국이 광복을 되찾고 일본에 의해 강제 동원되었던 한국인들이 고국의 품으로 다시 돌아올 수가 있었다. 그후 1946년 8월 15일에는 해방 1주년을 맞이 하였고, 1948년 8월 15일에는 정부 수립이 선포되어 이후부터는 광복과 함께 정부수립이라는 두가지 역사적 의미가 있는 날로 자리 잡게 되었다.


광복절이 있기전에  대한민국에는 "독립운동가"가 있었기에 독립, 광복이 가능했다.

한국에 경우 1919 1월 미국 대통령이었던 윌쓴이 제 1차 세계대전의 강화 기초조건으로 발표한 14개조 중의 민족자결 조항은 한국인에게 독립의 가능성을 믿게 하였고, 이것은 3.1운동이라는 민족항쟁을 폭발적으로 일으킨 정신적 동기가 되었다. 3.1운동이 일어나자 마자 미국 신문들은 이 사실을 보도하면서 일본을 규탄하였고, 미국 의회에서도 같은 해 6월 30일 한국문제가 제기되어 3년간이나 논란의 대상이 되었고, 한국에 관한 여러 보고서그리고 성명 등이 민국의회의 속기록에 오르게 하였다.


한편 독립운동은 압박을 당하는 상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운동으로 민족은 그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여야 한다는 민족자결(民族自決)의 이념이 바탕이 되어 식민지 지배를 받고 있는 지역에 민족의 자유와 독립을 요구하여 전개되는 운동으로 발전되었다. 



위대한 국가 대한민국 광복절




반응형

댓글